민후를 찾은 순간,
답은 가까워졌습니다.
사건의뢰 · 법률상담
지금 바로 민후의 전문변호사와 의논할 방법을 선택하세요.

당신이 알고계신
그 사건,
그 중심에
법무법인 민후가 있습니다.
-
0
건 이상
승소·업무사례
-
0
개사 이상
자문 고객
-
0
건 이상
상담사례
말보다 실력, 광고가 아닌 성과
민후 변호사입니다.
AT LAW


파트너 변호사
소속 변호사

다양한 분쟁, 맞춤형 전략
민후가 제시합니다.
SPECIALIZED
기업법무
Corporate Legal Affairs
형사·민사
Criminal·Civil Cases

민후의 혁신과 성공은
지금도 진행 중입니다.
PROGRESS
-
10313
홈페이지 도용으로 인한 저작권침해금지등가처분신청 사건에서 채무자를 대리해 가처분 기각 결정 도출
- 관련 업무분야
- 저작권
- 담당 변호사
- 김경환, 오슬기
- 등록일
- 2025-05-09
-
10312
에듀테크 기업에 거래처 어음 부도 상황에서 20억 원이 넘는 미수채권의 일부 회수를 위해 거래처의 제3자에 대한 채권액에 대한 가압류 신청 가능 여부 관련 법률자문제공
- 관련 업무분야
- 기업자문
- 담당 변호사
- 양진영, 김도윤
- 등록일
- 2025-05-09
-
10311
AI플랫폼 기반 데이터 전문 기업에 실질 업무는 자회사가 수행하는 구조가 '하도급법'상 재하도급에 해당하는지 여부 관련 기업법률자문 제공
- 관련 업무분야
- 기업자문
- 담당 변호사
- 김경환, 현수진
- 등록일
- 2025-05-09
-
10310
초상권 무단 사용 관련 손해배상청구 소송에서 피고를 대리하여 청구금액의 약 60%이상 감액된 금액으로 합의 도출
- 관련 업무분야
- 기업법·회사법, 회사소송
- 담당 변호사
- 김경환, 조윤
- 등록일
- 2025-05-08
-
10309
국내 유명 구직사이트 기업에 자사 플랫폼 내 면접후기를 수집 및 공개 방식 관련 법률검토자문 요청
- 관련 업무분야
- 기업자문
- 담당 변호사
- 양진영, 박수연
- 등록일
- 2025-05-08
-
10308
빅데이터 분석 및 자동화 솔루션 제공 IT 기업에 연구계약사항 확인서 수정 사항 검토 법률자문 제공
- 관련 업무분야
- 기업자문
- 담당 변호사
- 김경환, 이지윤
- 등록일
- 2025-05-08
-
10307
산업용 시뮬레이터 및 트레이닝 시스템 개발 및 제공 전문 기업에 미수금 미지급 거래처에 대한 회수 방안 관련 기업법률자문 제공
- 관련 업무분야
- 기업자문
- 담당 변호사
- 양진영, 한지윤
- 등록일
- 2025-05-07
-
10306
자동화·물류 IT 시스템 등 개발 및 제공 기업에 유상증자 진행 시 발생할 수 있는 법적 쟁점 관련 기업법무자문 제공
- 관련 업무분야
- 기업자문
- 담당 변호사
- 양진영, 이지윤
- 등록일
- 2025-05-07
-
10305
의료기기 및 관련 제품 수입·유통 기업에 영문 제품수입계약서 작성 및 검토 자문 제공
- 관련 업무분야
- 기업자문
- 담당 변호사
- 원준성, 김도윤
- 등록일
- 2025-05-07
-
10304
정부기관에 연구개발과제 수행 중 참여제한 처분을 받은 공동연구기관에 대한 후처리 업무 관련 공공기관 법률자문 제공
- 관련 업무분야
- 기업자문
- 담당 변호사
- 김경환
- 등록일
- 2025-05-07
-
10303
마케팅 및 PR 통합 커뮤니케이션사에 플랫폼 서비스 종료에 따른 제반 사항 관련 기업법률자문 제공
- 관련 업무분야
- 기업자문
- 담당 변호사
- 양진영, 박수연
- 등록일
- 2025-05-07
-
10302
유사 상표 사용으로 인한 상표법위반 혐의 받은 피의자 대리하여 혐의없음 불송치 결정 도출
- 관련 업무분야
- 상표
- 담당 변호사
- 양진영, 오슬기
- 등록일
- 2025-05-02
-
10301
캐드 프로그램 저작권침해로 인한 채무부존재확인소송 원고 대리, 상대방의 손해배상청구 반소에 대응해 손해배상액의 75% 감액 승소
- 관련 업무분야
- 저작권
- 담당 변호사
- 김경환, 양진영, 원준성, 조윤
- 등록일
- 2025-04-30
-
10300
산업통상자원부 산하 준정부기관에 자체 제정 '내부통제 운영 규정(안)'에 대한 법률검토 자문 제공
- 관련 업무분야
- 기업자문
- 담당 변호사
- 김경환, 최주선 , 김도윤
- 등록일
- 2025-04-30
-
10299
AI 학습용 데이터를 수집·가공·검수하는 플랫폼 운영 기업에 공동 개발 결과물인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공동특허추진협약서 작성 등 자문
- 관련 업무분야
- 기업자문
- 담당 변호사
- 김경환, 현수진
- 등록일
- 2025-04-30
-
10298
중고 명품 중개·판매 서비스 제공사에 이미 고용한 외국인이 취업활동 불가능한 비자로 입국한 사실을 뒤늦게 알게된 상황에 대한 대처 관련 기업법률자문
- 관련 업무분야
- 기업자문
- 담당 변호사
- 김경환, 이지윤
- 등록일
- 2025-04-30
-
10297
IT 기반 세무 서비스 플랫폼 제공 기업에 세무사법을 위반하지 않는 범위 내의 신규 비즈니스 모델 구축 방안 관련 기업법무자문
- 관련 업무분야
- 기업자문
- 담당 변호사
- 김경환, 원준성
- 등록일
- 2025-04-30
-
10296
패션 및 뷰티 관련 브랜딩·유통·마케팅 기업에 모회사로서의 주요 의사결정에 대한 자회사에 사전통지 의무 존재 여부 관련 법률자문
- 관련 업무분야
- 기업자문
- 담당 변호사
- 김경환, 김정원
- 등록일
- 2025-04-30
-
10295
정부 산하 준정부기관에 특정 직원들의 법인카드 부정 사용 등 관련 징계 절차 등 공공기관 법률자문
- 관련 업무분야
- 기업자문
- 담당 변호사
- 김경환, 최주선 , 김도윤
- 등록일
- 2025-04-30
-
10294
산업기술·영업비밀 위반 혐의 고소 사건에서 피고소인 대리하여 불송치 결정 도출
- 관련 업무분야
- 영업비밀·산업기술
- 담당 변호사
- 김경환, 김정원
- 등록일
- 2025-04-28

지식은 공유되어야 한다는 게
민후의 믿음입니다.
SHARING
기업법무 법무법인 민후, 기업소송 기업자문 변호사 소개
-
활동·언론보도
양진영 변호사, 국민일보 ‘번호 이동 위약금 면제, SKT 중대 책임 있는지가 관건‘ 주제로 인터뷰
법무법인 민후 양진영 변호사는 국민일보 ’번호 이동 위약금 면제, SKT 중대 책임 있는지가 관건" 에 대해 인터뷰하였습니다. SK텔레콤 해킹 피해를 우려한 가입자들이 다른 이동통신사로 대거 옮겨가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는데 문제는 위약금입니다. 일각에서는 해킹으로 계약을 해지하는 사유가 발생한 만큼 SK텔레콤에서 다른 통신사로 번호 이동하는 가입자에게 위약금을 물지 말아야 한다는 요구가 나오고 있으며. SK텔레콤이 해킹으로부터 가입자 정보를 지키지 못한 게 위약금을 면제할 만큼의 귀책 사유로 볼 수 있을지가 관건인데요. 29일 SK텔레콤 5G·LTE·3G 이용약관에 따르면 의무 사용 기간을 설정하고 보조금을 받은 고객은 약정 만료 전 계약을 해지할 경우 위약금을 내야 하며 사용 기간이 짧을수록 위약금을 많이 내야 하는 구조입니다. 위약금 면제 조건도 명시돼 있는데 통화 품질 불량, 사망·이민 등 고객의 신변 변화, 회사의 귀책 사유로 인해 해지할 경우 등이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이번 해킹이 회사의 귀책 사유가 될 수 있다고 입을 모으고 있는데요. 법무법인 민후 양진영 변호사는 “회사 측 귀책 사유로 위약금이 면제된 선례를 따져봐야 한다”면서도 “전례가 없는 사고이고 만약 유심이 복제돼 범죄에 사용되면 피해가 커지는 만큼 면제 사유로 고려해볼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기고 전문은 우측 상단의 [기사바로보기]를 통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민후 칼럼
[원준성 변호사의 최신 ‘IP 판례’] (3) 저작권법상 ‘국제적 권리소진’ 첫 인정…도라에몽 병행수입 사건
법무법인 민후 원준성 변호사는 IP Daily에 ‘저작권법상 국제적 권리소전 첫 인정 사례’에 대한 기고문을 게재하였습니다. 이번 기고문에서는 국내 대법원이 저작권법상 ‘국제적 권리소진’ 원칙을 처음으로 인정한 도라에몽 병행수입 사건을 중심으로, 주요 쟁점과 판결의 법적 의미를 분석했습니다. 해당 사건에서 피고인은 중국 내 정식 유통업체로부터 도라에몽 블록 제품을 수입해 국내에 판매했으나, 국내 저작권자의 별도 허락 없이 판매했다는 이유로 저작권 침해 혐의로 기소되었습니다. 원준성 변호사는 항소심과 상고심을 직접 수행한 변호인으로서, 저작권법 제20조 단서의 국제적 적용 여부를 주요 쟁점으로 부각해 해당 단서가 국제적으로도 적용되어야 한다는 점을 적극 주장했습니다. 특히, 병행수입이 상표권 침해는 되지 않으면서 저작권 침해로만 인정되는 것은 국민 법감정에도 부합하지 않는다는 점을 강조하며, 해외 판례 및 학계 통설을 종합해 국제 권리소진을 인정해야 한다는 근거를 제시했습니다. 이에 대법원은 ‘외국에서 적법하게 유통된 저작물이라면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배포권은 소진된다’고 판시하며, 국제적 권리소진 원칙을 저작권법상 인정했습니다. 법무법인 민후 원준성 변호사는 기고를 통해 “이번 판결은 비록 피고인에게 유리한 결론은 아니었지만, 대법원이 국제적 권리소진 원칙을 명확히 정립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며, 저작권자의 권리 보호와 진정상품 유통의 균형이라는 시대적 과제를 반영한 판단이라는 내용으로 기고문을 마쳤습니다. 기고 전문은 우측 상단의 [기사바로보기]를 통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자료실
AI(인공지능) 도입으로 인한 개인정보 및 정보보안 이슈
김경환 법무법인 민후 대표 변호사는 AI(인공지능) 도입으로 인한 개인정보 및 정보보안 이슈와 관련된 강연을 진행하였습니다. AI를 도입하여 활용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AI활용으로 인해 개인정보 및 정보보안과 관련된 법적이슈에 많은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김경환 대표변호사는 강연자료를 통해 AI(인공지능) 도입으로 인한 개인정보 및 정보보안 이슈에서 중요한 쟁점사항과 사례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였습니다.
법무법인 민후는 서울 강남구 테헤란로에 있습니다.
(우)03625 서울 강남구 테헤란로 134,
포스코타워 역삼 11층, 법무법인 민후
(06235) 11F, POSCO Tower Yeoksam, 134,
Teheran-ro, Gangnam-gu, Seoul, Korea
사건의뢰·법률상담|02-532-3490
대표번호|02-532-3483
인터뷰 요청, 강연, 업무제휴|02-532-34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