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법지원·연구과제
법치주의 국가에서 입법절차는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국가를 구성하는 주체들의 필요에 의해 입법 절차가 진행되고, 입법 절차를 통해 정해진 바에 따라 국가가 운영되며, 또 그로 인한 영향은 다시 국가 구성 주체들에 미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충분한 사회적 합의가 이루어진 뒤 입법절차가 진행되어야 하지만 실제 우리나라의 입법 현실은 이상과 거리가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전문성의 부족으로 현실이 반영되지 못한 입법절차가 이루어지고, 그 안에서 현실적인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운 제도들이 만들어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이유로 현실적인 법령제정을 위해서는 관련 법령과 산업에 대한 높은 이해도를 가진 법률가의 전문성을 더할 필요가 있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법무법인 민후는 이러한 국가적 차원의 요구에 따라 입법부와 행정부의 법령 연구 및 의제발의 등에 전문적인 조언과 가이드를 제시하여 미래 산업의 기반이 되는 IT · IP 분야의 현실이 반영된 입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또한 축적된 지식과 경험을 바탕으로 법령 제·개정의 필요성과 효과 등에 대해 꾸준히 연구과제를 수행해 오고 있습니다.
‘개인정보 침해요인 평가방안’, ‘데이터 이용환경 혁신을 위한 법률 제정방안 연구’ 등 다양한 정부과제 수행을 통해 전문성을 발휘한 입법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법무법인 민후는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쌓인 노하우와 지식을 바탕으로 오늘보다 나은 내일의 대한민국을 만들어가기 위해 앞으로도 계속해서 노력해나갈 것입니다.
NO | 업무사례 | 발주처 |
---|---|---|
17 | [연구] 딥페이크 기술대응 법제도 개선 방안 연구 | 방송통신위원회 |
16 | [연구] 이용자 개인정보보호 권리 실질화 방안 연구 | 한국인터넷진흥원 |
15 | [연구] EU GDPR 법률상담 및 사례집 제작 | 한국인터넷진흥원 |
14 | [연구] 데이터이용환경 혁신을 위한 법률제정 |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 |
13 | [연구] 공사 COS 판매가격 기준 수립 및 가치평가 | 한국조폐공사 |
12 | [연구] 경마 유관 법령 개정 | 한국마사회 |
11 | [연구] 중소기업 기술보호 역량강화 대응방안 | 국가지식재산위원회 |
10 | [입법] 개인정보보호법 주민번호 암호화 시행령안 | 행정안전부 |
9 | [입법] 잊혀질 권리 법제화 | 방송통신위원회 |
8 | [입법] 빅데이터 가이드라인 | 방송통신위원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