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미술 창작 관련 플랫폼을 운영하는 한 기업은 자사 고객이 전직장에 대해 오픈채팅방에서 발언한 이후, 명예훼손, 모욕, 업무방해 등의 혐의로 고소될 수 있다는 이야기를 들은 상황에서 법적 대응 가능성과 관련 쟁점에 대해 법무법인 민후에 자문을 요청하였습니다.

법무법인 민후는 오픈채팅방과 같은 비공개 공간에서도 다수 참여자에게 발언이 전파될 가능성이 있다면 명예훼손죄나 모욕죄에서 요구되는 공연성이 인정될 수 있다고 보았습니다. 또한 사실의 적시 여부와 표현의 성격, 공공의 이익 목적 유무에 따라 위법성 조각 가능성을 검토할 수 있으며 정신과 진료 기록이나 당시의 대화 맥락을 입증할 수 있는 자료가 방어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음을 설명하였습니다.

업무방해죄의 경우에는 허위사실 유포나 위력의 존재, 그리고 실제 업무 방해의 위험성이 입증되어야 성립할 수 있으며, 반대로 상대방의 고소가 명백한 허위사실에 기반한 경우 무고죄 성립 여부도 함께 검토해볼 수 있음을 안내하였습니다. 협박 발언에 대해서는 통상적인 ‘고소 의사 표시’만으로는 협박죄 성립이 어렵다는 판단도 병행하여 제시하였습니다.

법무법인 민후는 본 자문을 통해 고객이 전후 사정을 충분히 파악하고, 혐의 성립 가능성, 대응 전략, 합의 가능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향후 형사 절차에 효과적으로 대비할 수 있도록 실무적이고 구체적인 개선 방향을 제시하였습니다.

최근 유사 업무사례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