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무법인 민후는 바이오제약업체의 제품 제조판매금지 및 손해배상청구 소송에서 승소하였습니다.
원고는 바이오제약업체이며, 피고는 의약품 판매전문업체입니다. 원고는 바이오의약품 A제품을 처음으로 국산화에 성공하였는데, 피고는 이를 판매하고자 원고와 구매계약을 체결하였습니다.
이후 피고는 ‘자신이 A제품을 제조하면 매출에 더 도움이 될 것’이라며 원고와 업무협약을 맺고자 했습니다. 업무협약의 골자는 피고가 A제품 제조허가(이하 이 사건 허가)를 받을 수 있게 원고가 돕는 것이었습니다.
이에 원고는 피고에게 A제품의 원재료, 제조방법 등이 담긴 기술문서가 첨부된 의료기기 제조허가 신청서를 송부해 주었고 피고는 이를 통해 이 사건 허가를 얻어냈습니다.
그러던 어느날 피고는 원고와 맺은 합의를 무시하고 제조원 변경허가를 받아 A제품을 직접 제조하여 판매(제조자를 피고 자신으로 표기)하기 시작했습니다. 이때 피고의 발주 역시 중단되었습니다.
원고는 피고가 거래를 중단한 것과 이 사건 허가의 사용 범위를 넘어서 A제품을 제조하는 것‘은 채무불이행 및 불법행위에 해당한다며 이번 소송을 제기하였습니다. 본 법무법인은 피고의 이 사건 제조허가의 취득은 원고 A제품을 피고가 판매하기로 하는 이 사건 업무협약 및 제품구매계약의 이행으로 이루어진 것이므로, 당연히 이 사건 허가의 사용 범위는 원고 의료기기 판매에 한정된다고 지적했습니다.
게다가 이 사건 제품구매계약은 계약 종료가 되지 않았는데, 피고가 원고로부터의 발주를 중단하고 이 사건 허가를 이용하여 독자 제품을 제조․판매하는 것은 채무불이행 및 불법행위에 해당함을 주장하고 이에 대한 손해배상액을 청구하였습니다.
법원은 법무법인 민후의 주장을 받아들여 손해배상청구를 지급하라는 내용의 화해권고결정을 내렸습니다.
원고는 바이오제약업체이며, 피고는 의약품 판매전문업체입니다. 원고는 바이오의약품 A제품을 처음으로 국산화에 성공하였는데, 피고는 이를 판매하고자 원고와 구매계약을 체결하였습니다.
이후 피고는 ‘자신이 A제품을 제조하면 매출에 더 도움이 될 것’이라며 원고와 업무협약을 맺고자 했습니다. 업무협약의 골자는 피고가 A제품 제조허가(이하 이 사건 허가)를 받을 수 있게 원고가 돕는 것이었습니다.
이에 원고는 피고에게 A제품의 원재료, 제조방법 등이 담긴 기술문서가 첨부된 의료기기 제조허가 신청서를 송부해 주었고 피고는 이를 통해 이 사건 허가를 얻어냈습니다.
그러던 어느날 피고는 원고와 맺은 합의를 무시하고 제조원 변경허가를 받아 A제품을 직접 제조하여 판매(제조자를 피고 자신으로 표기)하기 시작했습니다. 이때 피고의 발주 역시 중단되었습니다.
원고는 피고가 거래를 중단한 것과 이 사건 허가의 사용 범위를 넘어서 A제품을 제조하는 것‘은 채무불이행 및 불법행위에 해당한다며 이번 소송을 제기하였습니다. 본 법무법인은 피고의 이 사건 제조허가의 취득은 원고 A제품을 피고가 판매하기로 하는 이 사건 업무협약 및 제품구매계약의 이행으로 이루어진 것이므로, 당연히 이 사건 허가의 사용 범위는 원고 의료기기 판매에 한정된다고 지적했습니다.
게다가 이 사건 제품구매계약은 계약 종료가 되지 않았는데, 피고가 원고로부터의 발주를 중단하고 이 사건 허가를 이용하여 독자 제품을 제조․판매하는 것은 채무불이행 및 불법행위에 해당함을 주장하고 이에 대한 손해배상액을 청구하였습니다.
법원은 법무법인 민후의 주장을 받아들여 손해배상청구를 지급하라는 내용의 화해권고결정을 내렸습니다.
업무 수행 변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