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유출방지, 대법원 판례와 실제 사례로 보는 기업 실무 대응 전략
- 기술유출을 예방하기 위해 대법원 판례, 실제 형사사건 사례, 그리고 법률 실무 가이드를 종합 정리하였습니다. 본 글에서는 기업의 산업기술 보호를 위한 사전 전략과 법적 대응 방안을 다룹니다.
기술유출, 기업 존립을 위협하는 리스크
기술은 곧 기업의 핵심 자산입니다. 제조업체, 스타트업, IT기업 등 기술을 기반으로 성장하는 기업에게 기술유출은 단순한 재산 침해를 넘어 생존 자체를 위협하는 중대한 사안입니다. 내부 직원의 퇴사와 경쟁사 이직, 외부 협력업체와의 불완전한 계약 등 유출 경로는 다양하며, 피해 발생 시 회복이 어렵습니다.
최근에는 산업기술과 영업비밀 보호를 강화하는 입법이 잇따르고 있으며, 대법원 역시 형벌법규를 엄격히 해석하여 기술유출 사건에서 명확한 판단 기준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대법원 판례가 제시한 기술유출 처벌 기준
2025년 5월 15일 선고된 대법원 2024도21051 판결은 기술유출 사건에서 "어떤 기술이 법률상 보호되는 산업기술에 해당하는가"라는 중요한 판단 기준을 명확히 했습니다. 해당 사건은 개정된 법령에 따르면 '산업기술' 관련 불법행위에 해당하나, 행위 당시의 법령상 보호 대상이 아니었던 점이 쟁점이었습니다.
대법원은 형벌법규는 죄형법정주의에 따라 엄격히 해석되어야 하며, 산업기술보호법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고 판시하였습니다. 피고인에게 불리한 확장 해석이나 유추 해석은 허용되지 않으며, 법적인 의미에서 '산업기술'은 단순한 기술이 아니라 관련 기관의 장이 지정·고시·공고한 기술만을 의미한다고 밝혔습니다.
또한, 부정한 방법으로 취득되지 않았거나 취득 시점에 법령상 보호 대상이 아니었던 기술은 처벌할 수 없다고 판단하였습니다. 이 판례는 기술을 보호하려면 단순한 보유만으로는 부족하며, 산업기술 지정 절차를 거쳐야 형사적 보호가 가능하다는 점을 시사합니다.
산업기술유출 예방을 위한 실무 전략